제14강 취재와 인터뷰
- 본 페이지의 내용은 KBS 명예VJ 연수 내용 중에서 요약한 것임(자료 제공 : KBS명예VJ 채대종)
해외 언론의 국내 취재
가. 취재 요령 및 기사 작성법
기성 신문이나 방송용 '기사'는 신속성이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사안이 발생하면 바로 기사 작성을 해야 한다. 방송의 경우는 취재 후 바로 글을 쓰고, 그림도 찍어야 하며 적절한 편집과 필요하다면 그래픽을 가미하여야 하므로 피를 말리는 시간과의 싸움이 되기 일쑤다.
또한 정확성이 기본이므로 이는 반드시 챙겨야 함은 말할 필요가 없다.
방송 기사의 경우 기자가 현장에서 마이크를 잡는 3가지 이유(온마이크=스탠드업는 다음과 같다.
- 사건의 경우 기자가 그 장소 갔다는 신뢰감을 준다.
- 기사 내용에 따라 적당한 그림이 없는 경우, 예를 들어 철학적인 표현이나 수사적인 표현이 들어간다면 기자가 나와서 설명하면 훌륭한 그림이 될 수 있다.
- 관청 출입 기자의 경우 관청만을 보여주는 단조로운 화면보다는 출입기자를 자주 비춰줌으로써 출입처 직원에게 출입기자라는 사실을 각인시키기도 하기 때문이다.
나. 리포트 구성법
1) 역피라미드 식(가장 일반적)
- 편집 과정에서 뒷부분을 자르는 게 일반적 약속. 그래서 중요한 말을 먼저하여야 한다.
(엘리베이터안에서 출근길 교통사고를 얘기한다고 가정한다면)
○○에서 교통사고 나서 2명이 죽었다 → 중앙선 침범사고 같다 → 우리 회사 사람은 아닌 것 같다 식이 된다.
- 리드는 15자 정도로 간략히, 좀 길어도 50자를 넘어서는 안됨
2) 발생 시간 순서(추보식 구성)
- 금강산 이산가족 상봉 : 시간 순서대로 사건의 진행과정을 설명
- 연 이은 사건 : 사건 발생부터 검거까지 시청자가 궁금
3) 양괄식 구성
- 중요한 얘기를 앞뒤에서 다뤄주는 방식
4) 멘트 없이
- 중요한 현장음과 음악, 관련 자막만 가지고 구성.
다. 기사작성시 유의할 점
- 취재의 방향을 설정 → 기획 → 촬영 → 편집
- 취재가 우선 잘 되어야 함(궁금한 것을 시청자들의 입장에서 생각 : 중2 정도가 알아들을 수 있을 정도)
- 기사의 출처는 대표성과 권위를 갖춰야(정보는 휘발유=좋은 정보는 위로 올라간다)
- 교통 사고 : 피해 규모는 어느 정도인지, 어느 병원에 입원해 있는지, 사고의 원인은 무엇인지 등등
- 일단 취재가 잘 되면 방송기사는 짧으므로 중요도에 따라 배열을 하고 그것을 간략하고 정확한 표현으로 다듬기만 하면 훌륭(문법, 표준어 사용은 기본)
- 방송기사 원고는 리포트의 경우 1분 30초를 넘지 않게 간결하고 알기 쉽게 작성
- 기자 온마이크와 인터뷰를 제외하면 6~7 문장이 적절
- 자기가 이야기하려는 논점을 분명하게 잡아서 짧고 함축적인 단어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
- 반복되는 단어는 피하라(말했습니다. 밝혔습니다. 했습니다)
- 방송은 신문기사와 달리 그림을 생각해야 하므로 그림과 글이 따로 놀지 않도록 주의
- 중요한 그림은 리포트 중간에 설명을 해야 하므로 머리에 넣고 기사를 쓰는 습관이 중요
- 너무 많은 것을 보여 주려고 하면 나레이션도 빠르게 되고 오히려 호흡이 빨라짐 → 시청자가 그림을 보면서 생각할 여유를 있어야.
- 뉴스에서는 인터뷰가 중요
라. 인터뷰 요령
- 인물과 주제를 예습하라(사전에 인물에 대한 정보를 습득)
- 질문도 예비하라. 언어가 좌우한다(정확한 발음)
- 예의를 유지하라(어린이에게도 존댓말 사용)
- 현장에서 만나라
- 소감 대신 소론 : 이번 방문소감이 어떻는가?(×) 오랜만에 오셨는데 뭐가 달라졌나요?(○)
- 미래를 예비하라(만나는 사람들의 인연의 끈을 길게 가져라)
'UCC 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UCC 만들기] 동영상 제작계획서 (0) | 2015.09.16 |
---|---|
[UCC 만들기] 제15강 동영상 제작과 관련한 소견 (0) | 2015.09.02 |
[UCC 만들기] 제13강 편집을 고려한 촬영 (0) | 2015.09.02 |
[UCC 만들기] 제12강 광원에 따른 촬영, 시점 (0) | 2015.09.02 |
[UCC 만들기] 제11강 화면 크기에 따른 샷을 종류 (0) | 2015.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