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르치면서55

잡과를 가르치면서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7. 12. 6.
민주주의와 한글/한국어 2007년 청주문화방송이 제작한 다큐멘터리 '한글의 비밀'을 유튜브를 통해 본다. 이 작품은 여태까지 봐왔던 한글 관련 다큐멘터리 중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보인다. 기존의 대부분 한글 관련 다큐멘터리는 한글의 창제나 한글의 독창성, 쉬움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이 작품은 그 글자를 쓰는 사람들에게 즉 백성(국민)에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하지만 다큐 속에 담긴 지혜로운 생각들은 10년이 지난 지금도 공론화되지 못하고 있음이 안타깝다.다큐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것처럼 글자는 동서고금을 통해 통치자에게 가장 큰 통치의 무기였다. 고대 이집트가 그랬고, 고대에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중국이 그랬다. 이 다큐를 보면 영국 또한 크게 다르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런 측면에서 우리 나라는 가장.. 2017. 10. 22.
공부할 거리로서의 광고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7. 5. 12.
공정 여행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7. 5. 12.
안하무인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7. 4. 18.
부의 그늘 - 호텔 22 '호텔 22'라는 다큐멘터리다.'엘리자베스 로'라는 여류 감독이 만든 8분 30초짜리 짧은 이 영상 속에는 매우 의미심장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정체를 알 수 없는 모포같은 물건이 등장하는데 이는 잠시 후 차림이 심상찮은 사람으로 드러난다. 이어서 버스가 도착한다. 이 버스는 팔로 알토(Palo Alto)행 22번 공용 버스. 팔로 알토는 샌프란시스코 남쪽 스탠포드대학교가 있는 곳이다. 밤 12시가 다 되어가는 시각에 이 차에 오르는 사람들은 노숙자들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길거리에서 잠을 자는 홈리스들이 아니라 공용 버스에서 잠을 자는 사람들이다.'모두들 지금부터 주무실 터인데 이건 지켜달라. 바닥에 드러눕지 말 것이며, 발을 시트 위에 올리지 말라, 피곤하거든 창에 머리를 기대고 자라, 다음 차례에 .. 2017. 4. 17.
비전문이 전문을 이긴다 지금은 특성화 고등학교라는 이름으로 불리우고 있지만, 이전의 이름은 전문계 고등학교였다. 그 이전에는 실업계 고등학교이었고. 나는 특성화고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다. 여기서 컴퓨터 과목을 가르치고 주로 컴퓨터와 관련된 업무를 해오고 있다. 컴퓨터 관련 업무는 일반 학교에서는 교육정보부라는 부서에서 한다. 교육정보부라는 부서가 생기고 난 뒤 지금까지 거의 1-2년을 빼고 그 일을 하고 있다. 햇수로 이제 25년이 넘었다. 그런데도 나는 오늘 또 내 입지가 좁아지고 가슴이 답답해지는 말을 듣는다. 어느 선생님 말이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컴퓨터가 이렇게 후져서야...'. 하는 말.메모리 카드가 자신이 쓰는 컴퓨터에서 인식이 잘 되지 않으니까 지극히 자연스럽게 내뱉은 말이다. 거기서 끝나지 않는다. 이런 말까지 보.. 2017. 4. 10.
긍정의 영어 한 줄(영어 명언)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7. 4. 6.
영어 공부 방법론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7. 4. 5.
RGB, CMYK 모드 2017. 4. 3.
한국의 일자리 구조와 진로 지도 KBS에서 기획물로 방송된 바 있는 '명견만리'가 책으로 나왔다. 그 속에는 다음과 같은 자료가 들어 있다. 대한민국의 일자리 구조를 간략화된 수치와 그림으로 표현한 자료인데, 한국을 100명이 사는 마을로 축약시켜서 본 것이다. 일단 경제활동 인구 즉 돈벌이를 하는 사람은 100명 중 62명이다. 38명은 노인 또는 어린이를 포함해서 일할 능력이 없는 사람이다.직장에 다니고 있는 사람은 모두 44명이다. 이 중에서 정규직은 30명, 비정규직은 14명이다. 비정규직은 정규직에 비해 평균 연봉이 절반이라고 한다. 44명의 직장인 중 500대 기업에 해당하는 대기업 근무자는 3명, 30대 기업 근무자는 단 1명에 불과하다.어쩔 수 없이 직장을 구하지 못하고 있는 이는 3명이며, 자영업 종사자는 15명인데, .. 2017. 3. 23.
사라질 직업, 태어날 직업 2016년 3월 이세돌 9단과 인공지능 알파고와의 바둑 대결 이후 조명되기 시작한 인공지능 시대의 직업 전망. 여러 신문 기사와 관련 자료들을 이용하여 PT자료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2016. 1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