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장면 전환 효과란?
전환 효과는 장면이 다음 장면으로 이어질 때 가미되는 효과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트랜지션 이펙트(Transition Effect)라고 일컫는다.
이 전환 효과는 기록물(다큐멘터리)이나 드라마 같은 데서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거의 쓰지 않는다.
영상 편집 초보자들이 가장 쓰기를 즐거워하는 기능 중의 하나이지만, 남용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난다는 점에 유의하자.
비디오 아트에서는 다중 트랙, 비디오 FX와 더불어 많이 활용하기도 한다.
장면전환 효과를 많이 사용하면 다른 효과를 쓰는 것과 마찬가지로 렌더링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사실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나. 효과 적용하기
① 윈도 도킹 영역에 있는 [Transitions]탭을 누른다.
다음 그림과 같이 다양한 장면 전환 효과들이 나온다. 왼쪽 목록에서 먼저 선택을 하면 오른쪽 [Preset]에 하위 항목들이 나타나는데, 이들이 어떤 효과인지를 알아보려면 마우스를 그림 위에 얹어보면 된다.
A가 이전 장면이고, B가 이후 장면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세부설정창에서 순서를 역으로 할 수도 있다.
② 적용하고자 하는 전환 효과를 고른 다음 장면과 장면이 이어지는 경계에 드래그를 한다. 아래 그림과 같이 크로스페이드 효과가 적용되어 있는 경우는 크로스페이드 대신에 드래그해 놓은 효과로 대체가 된다.
③ 아래 그림에 체크 표시한 것과 같은 전환 효과 적용 표시가 나타남과 동시에....
④ 전환 효과에 대한 세부설정 창이 나타나게 된다. 물론 효과에 따라 설정 내용이 다르다(이것은 일일이 다 설명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들이 살펴보기 바랍니다). 여기서는 기본값대로만 적용해보도록 하겠다. 오른쪽 위 창닫기 단추를 누르면 전환 효과 설정이 완료된다.
⑤ 전환 효과 지속 시간을 조절하려면 크로스페이드와 마찬가지로 이벤트 가장 자리를 드래그하여 조절한다.
⑥ 적용된 효과를 제거하려면 다음 그림과 같이 효과 제거 단추를 누른다.
다. 페이드 형태 선택하기
페이드 인/아웃 혹은 크로스페이드 효과를 적용한 경우 미세 조절을 할 수 있다.
① 페이드 효과가 적용된 이벤트에서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누른다. 메뉴 중 [Fade Type]의 하위 메뉴에 그림과 같이 몇 가지 형태가 나옵니다. 원하는 형태를 선택하면 적용된다.
② 다음 그림은 크로스페이드에서 마우스 오른쪽 >Fade Type을 선택한 경우이다.
참고 예제) 장면 전환 효과 보기
'강좌 모음 > 소니베가스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강. PiP(Picture in Picture) 만들기 (0) | 2015.07.15 |
---|---|
18강. 비디오(Video) FX 효과 적용하기 (0) | 2015.07.15 |
16강. 편집한 파일을 테이프에 녹화하기 (0) | 2015.07.15 |
15강. 인터넷용 동영상 만들기 (0) | 2015.07.14 |
14강. 파이어웍스를 활용한 자막 처리 (0) | 2015.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