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PIP란?
화면의 일부분을 분할해서 2개 이상의 영상을 보이게 하거나 배경 영상 위에 다른 영상을 얹어놓는 기법을 말한다. 베가스에서 Event FX를 이용하면 매우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기법이다. 여기서는 이벤트 FX의 활용법을 좀더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다.
나. 트랙 추가하기
PIP를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비디오 트랙이 2개 이상 있어야 한다. 비디오 트랙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하면 된다.
① 트랙 목록의 빈곳에서 마우스 오른쪽을 눌러 [Insert Video Track]을 실행한다.
② 기존의 비디오 트랙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을 눌러 [Insert Video Track]을 실행한다.
③ 메뉴에서 [Insert >Video Track]를 실행한다.
④ 위의 1) ∼ 3) 방법 중 하나로 트랙을 추가하였으면 각각의 트랙에 원하는 영상을 가져다 놓는다.
위의 그림은 부분적으로 크로스페이드 효과를 적용한 경우이다.
다. 트랙 삭제하기
트랙을 삭제하려면 해당 트랙 목록에서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눌러 [Delete Track]을 실행하면 된다. 물론 해당 트랙에 들어 있는 모든 이벤트도 사라진다. 그외 메뉴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라. 트랙 옮기기
트랙은 위쪽이 상위 트랙이 되고, 트랙 번호 상으로는 낮은 번호가 상위 트랙이다. 상위 트랙은 하위 트랙을 가리게 된다. 배경은 화면에 가득 차게 하고, 그 위에 작은 영상을 올려 PIP가 되게 하려면 작은 영상이 들어 있는 트랙이 상위 트랙이 되도록 하면 될 것이다.
옮기려면 트랙 목록에서 옮기고자 하는 트랙을 드래그해서 원하는 위치에서 드롭한다.
마. 이벤트 팬/크롭을 활용한 PIP 만들기
① 아래의 예제 영상을 참고하라. 이 영상에서는 검정 배경 위에 두 개의 영상을 하나는 크게 해서 왼쪽 위에 배치하고, 사진은 작게 하여 오른쪽 아래에 배치하였다. 클립에 있는 [이벤트 팬/크롭] 단추를 누른다.
② 이벤트 팬/크롭 대화 상자가 나타난다. 먼저 아래 그림의 오른쪽에 표시해놓은 '안전 영역 보이기' 단추를 눌러 안전 영역을 보이게 한다.
※ 안전 영역이란 컴퓨터로 보는 화면과 TV로 보는 화면의 영역이 차이가 있는데, TV에서 온전하게 보이는 영역을 말한다. 바깥쪽 점선은 영상이 보이는 한계를, 안쪽 점선은 자막이 보이는 한계를 나타낸다.
③ 영상의 축소를 위하여 왼쪽의 도구들 중에서 [돋보기] 도구를 선택하고, F 영역에서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누른다. 그러면 위 그림과 같이 영상이 축소되어 보인다.
④ 왼쪽의 도구에서 '화살표'를 누르고, 도구 조절점을 이용하여 영상의 크기와 위치를 정해준다. 미리보기 화면을 참고하고, 안전 영역에 유의하여야 한다. 조절점에서 바깥쪽으로 드래그하면 이미지가 축소되고, 안으로 드래그하면 확대가 된다. 마우스 포인터가 상하좌우 모양으로 표시될 때 드래그하면 이미지의 위치를 옮길 수 있다. [속성 보이기/숨기기] 단추를 눌러 속성(각종 설정값)이 보이게 한 상태에서 각 항목의 수치를 입력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⑤ 조절한 화면 크기와 위치는 다음에 또 사용할 것이라면 [Preset]에서 적당한 이름을 주어 저장한다.
⑥ 다른 이미지에도 같은 크기와 위치로 설정하고자 한다면 [Preset]에서 저장된 값을 선택하기만 하면 된다.
⑦ 필요하다면 영상의 크기가 점점 커지게 혹은 작아지게 애니메이션으로 처리한다.
▼ 예제 동영상
'소니베가스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강. 오토메이션(Automation) 기능 활용 (0) | 2015.07.15 |
---|---|
20강. 엔벌롭(Envelope) 활용 (0) | 2015.07.15 |
18강. 비디오(Video) FX 효과 적용하기 (0) | 2015.07.15 |
17강. 장면전환(Transition) 효과 만들기 (0) | 2015.07.15 |
16강. 편집한 파일을 테이프에 녹화하기 (0) | 2015.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