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탐방

커피 - 악마의 음료?

by 리치샘 2021. 9. 3.

<이 글은 유투브의 '지식 브런치' 채널과 위키백과 등을 참고하였음을 밝혀둔다.>

'악마의 음료!'
중세 기독교 성직자들이 커피를 두고 한 말이다.

물론 커피가 적대관계에 있던 이슬람권에서 탄생하고 아랍 상인들을 통해 유럽에 전해진 점을 염두에 둔 말이었겠지만, 한번 빠져들면 좀처럼 헤어나지 못하는 중독성을 두고 했던 말로도 해석이 된다.

커피의 기원
아프리카 이디오피아(에디오피아) 사람들이 먹기 시작했던 커피는 처음에는 음료가 아니라 커피를 갈아 버터에 버물러서 요즘의 에너지바 모양으로 만들어 먹었다고 한다. 모양만 에너지바가 아니라 효능도 그러했을 게 분명하다.
그 동네 이름이 카파(Kaffa)였다. 커피(Coffee)라는 단어도 거기서 연유된 것이 아닐까?

커피 콩을 볶아 모카에서 수출

525년 이디오피아가 홍해를 건너 예맨으로 쳐들어가면서 커피도 가져갔다고 한다. 예맨에서 재배되기 시작한 커피는 모카(예맨의 항구 도시, 15~17세기 국제적인 커피 무역의 중심지)항을 출발 바닷길을 따라 북쪽으로 이동, 사우디를 거쳐서 이집트, 시리아, 터키 등지로 퍼져 나갔다.
예맨은 커피 씨앗을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커피 체리 껍질을 벗겨내고, 커피 빈(콩)을 볶아서 수출했다고 한다. 
담배, 초콜릿 등의 기호 식품이 그랬듯 전파에는 시간이 많이 걸렸다. 터키에서 커피가 일반화되기 시작한 시기는 대략 16세기라고 한다.

왼쪽으로부터 커피 열매, 커피 콩, 볶아낸 커피 원두

16세기 이스탄불에 최초의 커피 가게가 생겼다. 이름은 카흐베하네(Kahvehane). 이곳에서 외교관들도 커피의 맛을 보았다. 유럽으로 전파된 커피는 인식이 썩 좋지 않았다. '사탄의 음료' 혹은 '무슬림의 독'이라 불리며 경계하는 식품이었다.
1615년 베네치아의 상인들이 커피를 수입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유럽 대륙으로 커피가 판매되기 시작했다.
이 시기의 교황 클레멘스 8세는 커피맛에 반해버렸다. 그는 너무 맛있는 이 음료를 이도교만 마시게 놔둘 수 없다면서 기독교인의 음료로 공인했다.

와인을 대신한 커피
아주 옛날부터 유럽에는 귀족이든 성직자든 식탁에 빠지지 않았던 음료가 있었으니, 그것은 와인이었다. 적당량을 마시고 말았다면(절제를 했다면) 다행이었겠지만, 아뭏든 아주 오랜 세월동안 유럽의 귀족들과 성직자들은 아침부터 술에 취해 있었다. 
이 와인을 자리를 뺏은 커피는 어쩌면 인류를 알콜 중독에서 구해낸 일등공신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유럽에 생기기 시작한 커피 하우스는 작가, 정치가, 기업가들의 만남의 장소 역할을 했다. 우스운 이야기지만 맨 정신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토론을 하기 시작한 시기가 이 때부터였다.

비싼 커피 가격을 낮추고 대중화시킨 나라는 네델란드의 무역상들이었다. 이들은 네델란드 식민지 인도네시아 자바섬에 대규모 커피 농장을 건설하였다. 이렇게 해서 모카 커피의 생산량을 자바 커피가 능가하게 되었고 유럽 전역에 싼 가격에 공급이 되게 되었다.

이성적 사고, 프랑스 대혁명
18세기 프랑스의 커피 집 즉 카페에는 놀고 먹는 귀족에 대한 상인들의 분노가 표출되던 곳이었다. 또한 철학자, 작가들은 이곳에서 경제적 불합리와 정치적 불만을 토로하였다. 커피를 마시면서 와인의 감정이 아닌 냉철한 지정으로 생각하고 말하는 훈련이 된 이들은 자유와 평등에 대한 각성을 이루었고 이것이 프랑스 대혁명으로 이어졌다. 커피는 중세 봉건사회를 끝내고 근대 민주주의를 연 새시대의 동반자였다. 

미국 독립의 원동력
또한 커피는 미국의 독립을 쟁취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영국은 1765년 인지세법과 1767년 타운젠드법을 통과시키면서 식민지에도 세금을 부과하기로 하였다. 미국은 이에 반발, 존 핸콕을 중심으로 중국산 홍차 불매 운동을 벌였다. 홍차 판매량은 14만5천 kg에서 240kg으로 급감하였다. 이는 존 핸콕 등이 중국에서 홍차를 밀수입해서 판매하였기 때문이었다. 이에 영국은 동인도 회사에서 홍차를 수입하여 미국에 직접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차법을 1773년 통과시켰다. 이렇게해서 동인도 회사의 차 값은 밀수업자의 차값보다 싸게 되어 다시 상인들과 밀수업자들은 파산지경에 내몰리게 되었다.
1773년 12월 보스톤 항에 정박 중이던 홍차 실은 배에 존 핸콕을 비롯한 밀수업자와 상인들이 주민들을 매수해서 아메리칸 인디언으로 위장해 배에 침입시켜 홍차 상자들을 물에 버린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은 1776년 미국 독립 선언으로 이어지고, 이어 독립 전쟁을 치른 끝에 1783년 마침내 미국이 영국으로부터 독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미국인들은 홍차보다는 커피로 눈을 돌리게 되었다. 1772년 1인당 커피 소모량은 0.08kg에 불과하였으나 1799년에는 거의 100% 늘어난 0.6kg에 이르게 된다. 이는 홍차 대신 커피를 마시는 행위가 애국으로 비춰지는 시대적 상황 때문이었다.

커피 원두 산지 - 신기하게도 남회귀선과 북회귀선 사이, 고도가 높은 땅에서 재배된다.



미국의 커피 소비 동향
미국은 프랑스 식민지였던 루이지애나 땅을 1803년 1500만 달러에 사들였다. '미국 역사상 가장 현명했던 구매' 중 하나로 여기고 있다. 루이지애나의 주요 도시 뉴올리언스는 미시시피 강 하류에 위치해 있어 예나 지금이나 강을 통한 교역의 중심지다.
미국은 이 때 벌써 세계 제일의 커피 생산국이 되어 있던 브라질로부터 커피를 수입해 뉴올리언스를 통해 내륙으로 보급했다. 때마침 서부 개척이 시작되면서 개척민들에게 커피는 필수품이 되었다. 밤 새워 원주민을 경계하는 데 커피만큼 효과적인 졸음 예방제는 없었던 것이다. 
이때의 일명 카우보이 커피는 커피 가루에 끓인 물을 부어 마시는 방식이었는데, 1910년 대에 더 간편한 요즘과 같은 인스턴트 커피가 상품화되었다. 1930년대에는 네슬레에서 'The 3-Second Coffee'라는 초간편 인스턴트 커피를 선보였다.

커피의 큰 흐름
제 1기
커피가 품질이 아닌 각성제로 인식되던 시절.  1,2차 세계대전 때 군인들에게 따뜻한 커피는 엄청난 인기였다. After total war can come total living. 총력전의 전쟁을 치른 후 총력적으로 생활에 매진할 수 있게 되었다. 세계 대전 후 커피는 노동자가 밤낮없이 일하도록 만든 수단이 되기도 했다. 그 무렵 일하면서 잠깐 커피 한잔의 여유를 즐기던 커피 브레이크(Coffee Break)가 등장했다.

제 2기
1970년 대부터 커피는 향과 품질로 승부를 거는 시대가 되었다.
네델란드의 알프레드 피트는 원두를 로스팅하면서 라이트(Light), 미디엄(Medium)을 지나 다크 로스트(Dark Roast) 시대를 열었다.
1971년 미국 시애틀에는 라크 로스트 커피 판매점이 들어서 사람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이 가게의 간판은 스타 벅스(Star Bucks)로 소설 모비딕(우리에겐 백경으로 더 알려져 있다)의 1등 항해사 이름을 땄다. 마크는 항해사를 유혹하는 뿔 달린 인어를 썼다. 처음에는 원두만 판매하다가 1987년 하워드 슐츠가 인수하면서 카페와 함께 운영했다. 에소프레소에 물을 타 묽게 만든 '아메리카노'를 만들어 고급 커피의 표준이 되었다.

제 3기
Blue Bottle로 대표되는 새로운 경향으로 각자의 취향을 고려해서 맞춤형 커피를 제공해주는 시대. 커피는 바리스타라는 직업이 있을 정도로 크게 3가지 요인으로 매우 다양한 맛을 만들어낸다. 그것은 첫째 원두의 산지(크게는 아라비카, 로부스타로 나뉘지만 원산지의 기후 특성상 약간씩 다름), 둘째 로스팅(볶음) 정도, 셋째 추출 방법 등에 따라 맛의 미묘한 차이를 만든다. 다음 그림을 참조하자. 대표적인 원산지를 다음 그림과 같이 8가지로 한정하고, 로스팅 방법 7가지, 거기에 추출 방법 6가지 등 총 336가지의 맛을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 물(냉, 온수), 프림, 시럽 등 감미료가 맛을 또 변화시킨다. 
이쯤되면 바리스타라는 커피 전문직업인이 필요하고, 특유의 맛으로 승부를 거는 커피 전문점이 당연히 나올 법하지 않은가?

 

출처 : https://visual.ly/community/Infographics/food/coffee-facts-0

 

출처 : https://coffeeatoz.com/

 

커피에 관한 21가지 놀라운 사실

- 출처 : https://www.goodhousekeeping.com/health/diet-nutrition/a30303/facts-about-coffee/

1. 음료의 역사는 서기 8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전설에 따르면 9세기 염소 목동들은 Coffea 식물의 열매를 먹고 "춤"을 추는 것처럼 보이는 염소에게 카페인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차렸습니다. 그런 다음 지역 스님이 그 농산물로 음료를 만들고 그것이 밤에 깨어 있게 해준다는 것을 발견하여 원래의 커피 한 잔이 탄생했습니다.

 

2. 커피 콩(Coffee Bean)은 기술적으로 씨앗입니다.

커피 나무에 달려 있는 체리같은 열매는 생긴 모양이 콩과 식물과 비슷하기 때문에 "콩"이라고 부릅니다.

 

3. 커피 체리를 음식으로 먹을 수 있습니다.

PBS에 따르면 초기에 사람들은 에너지가 풍부한 스낵볼을 만들기 위해 지방과 커피 열매를 혼합했습니다. 그들은 또한 펄프를 발효시켜 와인같은 음료를 만들었습니다.

 

4. 아라비카와 로부스타의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습니다.

재배자들은 주로 아라비카 종을 심습니다. 덜 인기가 있지만 Robusta는 약간 쓴 맛이 나며 카페인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5. 브라질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커피를 재배합니다.

국제 커피 기구(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에 따르면 오늘날 브라질은 세계 커피 생산량의 약 3분의 1을 생산하며 2위인 베트남의 약 두 배입니다.

 

6. 미국의 두 주에서만 커피를 생산합니다.

커피는 전통적으로 적도 지역의 기후에서 가장 잘 자라기 때문에 하와이의 날씨는 원두 수확에 최적입니다. 캘리포니아는 또한 최근 수십 개의 농장에서 값비싼 프리미엄 커피를 생산하면서 커피 게임에 뛰어들었습니다.

 

7. 에스프레소는 이탈리아어로 "압출"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에스프레소가 만들어지는 방식을 나타냅니다. 압축된 커피 가루에 끓는 물을 강제로 통과시키는 것입니다. 그리고 에스프레소는 커피보다 부피당 카페인이 더 많지만 일반 1잔의 양과 같게 하려면 세 번을 짜내야 합니다.

 

8. 세계에서 가장 비싼 커피는 파운드당 600달러 이상입니다.

가장 탐나는 품종 중 하나는 아시아 야자수 사향 고양이의 배설물에서 나옵니다. 사향 고양이는 커피 체리를 포함한 과일을 먹지만 콩을 소화할 수 없습니다. 배설된 씨앗은 코피 루왁(kopi luwak)이라는 부드럽고 덜 산성인 커피 콩을 생산하지만, 그 생산 방법은 동물 복지 활동가들로부터 비판을 받았습니다.

 

9. 여러 사람이 커피 금지를 시도했습니다.

1511년에 메카의 지도자들은 커피가 급진적 사고를 자극하고 음료를 금지한다고 믿었습니다. 일부 16세기 이탈리아 성직자들도 커피가 "사악한"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금지하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교황 클레멘스 7세는 커피를 너무 사랑해서 금지령을 해제하고 1600년에 커피에게 세례를 했습니다.

18세기까지만 해도 스웨덴 정부는 반항적 정서와 관련이 있다는 이유로 커피와 커피 관련 도구(컵과 접시 포함)를 모두 불법으로 규정했습니다.

 

10. 커피를 과다 복용해도 괜찮을까요?

걱정하지 마십시오. 카페인의 치사량에 가까워지려면 매우 짧은 시간에 약 30잔을 마셔야 합니다.

 

11. 핀란드는 가장 큰 커피 애호가들의 고향입니다.

국제 커피 기구(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에 따르면 보통의 성인 핀란드인은 매년 27.5파운드의 커피를 마십니다. 미국인은 1인당 겨우 11파운드와 마십니다.

 

12. 커피를 마시는 사람들은 더 오래 사는 경향이 있습니다.

Harvard Health Publishing에 따르면 연구에 따르면 적당한 섭취(하루에 약 3~4잔)가 수명 연장과 심혈관 질환, 제2형 당뇨병 및 파킨슨병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13. 9피트 높이의 가장 큰 커피 컵

한 컵에 3,487갤런의 제공량은 2012년 기네스 세계 기록으로 인정받았습니다 .

 

14. 보스턴 차 사건은 미국에서 커피 대중화를 도왔습니다.

PBS는 미국 독립전쟁이 일어나면서 홍차 대신 커피를 마시는 것이 애국심이 되었다고 밝혔습니다. 남북 전쟁은 또한 피곤한 군대에 활력을 불어넣는 데 도움이 되었기 때문에 커피를 더욱 널리 퍼뜨렸습니다.

 

15. 디카페인은 카페인이 없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8온스의 디카페인 커피 한 잔에는 실제로 2~12mg의 카페인이 포함되어 있다고 Mayo Clinic이 밝혔습니다. 일반 커피 한 잔에는 95~200mg이 들어 있는 반면 콜라 한 캔에는 23~35mg의 카페인이 들어 있습니다.

 

16. "커피"라는 단어는 "와인"을 의미하는 아랍어에서 유래했습니다.

아라비아어 Qahwah(콰화)는 나중에 kahveh(터키어), 다음은 KOFFIE(네덜란드어)로, 여기서 영어 단어 Coffee가 탄생하였습니다.

 

17. 스타벅스는 하루 평균 2개의 매장을 엽니다.

시애틀에 첫 매장을 오픈한 지 47년 만에 이제 전 세계 29,000개 이상의 매장에서 그란데 라떼를 주문할 수 있습니다.

 

18. 블랙커피 한 잔의 칼로리는 1칼로리입니다.

감미료, 크림 및 기타 믹스인을 추가하면 총량이 빠르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Starbucks 의 벤티 자바 칩 프라푸치노에는 88g의 설탕과 600칼로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맥도날드의 빅맥보다 많습니다!

 

19. Teddy Roosevelt가 Maxwell House의 슬로건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Smithsonian.com에 따르면 미국의 26대 대통령은 자신의 아들 중 한 명이 자신의 맞춤형 컵을 "욕조에 가깝다"고 묘사할 정도로 커피를 너무 사랑했습니다. 1907년 앤드류 잭슨의 이전 사유지를 방문했을 때 루즈벨트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는 캐치프레이즈인 “마지막 한 방울까지 좋은 맥스웰 하우스”를 흥얼댔다고 합니다.

 

20. 던킨에서 25,000가지 방법으로 커피를 주문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 이름이 바뀐 도넛 체인 던킨은 사용자 정의 가능한 자바 음료를 출시했습니다. 매년 전 세계적으로 20억 개의 컵을 판매하며, 이는 고객이 옵션을 80,000번 고를 수 있는 양입니다.

 

21. 가루는 피부를 아름답게 할 수 있습니다.

DIY 스크럽을 위해 남은 커피 콩을 모아두십시오. Good Housekeeping Beauty Lab 화학자 Danusia Wnek은 "커피 찌꺼기는 죽은 피부 세포를 제거하여 피부를 매끄럽고 밝게 보이게 하는 물리적 각질 제거제입니다."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카페인은 피부의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국소 제품에서의 사용에 대한 임상 데이터는 아직 충분하지 않습니다."

 

'역사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자가 유럽을 구했다  (0) 2021.10.04
이해하기 어려운 역사적 사실들  (0) 2021.10.02
정복과 배신 사이 - 말린체  (0) 2021.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