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는 이야기

경주 이씨 가계의 유명인사들

by 리치샘 2016. 5. 7.

경주 이씨 시조와 중시조

시조는 신라의 건국 신화에 나오는 초기 신라의 6촌 중 알천양산촌(閼川楊山村)의 촌장으로 전해지는 표암공(瓢巖公) 이알평(李謁平)이다.

알평(謁平)은 6촌 촌장의 수장으로 화백회의를 주재하고 박혁거세를 옹립하여 신라 건국의 원훈으로 좌명공신이었고 아찬 관직에 올라 군무를 살폈다. 유리왕 9년(AD32년) 양산촌(楊山村-삼국유사. 양산부-삼국사기)를 급량부(及梁部)로 개칭하고 이씨(李氏) 성(姓)을 사성(賜姓)하였다.

중시조는 소판(蘇判) 이거명(李居明)이다. 이거명은 시조 이알평의 원대손(遠代孫)이다. 고려 말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묘지명(목은 이색)에서 신라 말 소판(蘇判) 관직에 올랐던 이거명 이하만 기록되어 있는데 후손들이 중시조로 받들고 1세로 기세(起世)하고 있다. 시조로부터 현재까지 약 2,000여년의 역사를 가진다.

분파와 분적

경주 이씨의 세계(世系)는 고려 말 중시조 15-21세에서 14개 대파로 분파하였다.

중조 15세 열헌(悅軒) 이핵(李翮)의 본손 계대가 중조 16~17세에서 크게 8대파로 나뉘고, 중시조 지손 계대가 15-21세에서 6대파, 총 14개 대파로 분파되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중소 70여개 파로 분파된다.

14개 대파는 평리공파(評理公派- 파조 16세 李仁挺 이인정)· 이암공파(怡庵公派- 파조 17세 李琯 이관)· 익재공파(益齋公派- 파조 17세 李齊賢 이제현)· 호군공파(護軍公派- 파조 17세 李之正 이지정)· 국당공파(菊堂公派- 파조 17세 李蒨 이천)· 부정공파(副正公派- 파조 17세 李邁 이매)· 상서공파(尙書公派- 파조 17세 李薖 이과)· 사인공파(舍人公派- 파조 17세 李蓨 이조)· 판전공파(判典公派- 파조 15세 李康+羽 이강)· 월성군파(月城君派- 파조 21세 李之秀 이지수)· 직장공파(直長公派- 파조 19세 李養吾 이양오)· 석탄공파(石灘公派- 파조 19세 李存吾 이존오)· 진사공파(進士公派- 파조 19세 李存中 이존중)· 교감공파(校勘公派- 파조 19세 李存斯 이존사)이다.

이씨 중에는 경주이씨 시조 이알평(李謁平)에 연원을 두고 있는 분관이 많은 듯하나 계대 확인이 안되어 분적종 승인을 받지 못하나 현재 경주 이씨의 확인된 분관은 8본관이다.

시조 후손에서 분적한 합천 이씨(陜川李氏- 분적조 강양군 李開 이개) · 차성 이씨(車城李氏- 분적조 차성군 李渭 이위)· 우계 이씨(羽溪李氏- 분적조 중서사인 좌복야공 陽植 양식)와 중시조 후손 계대에서 원주 이씨(原州李氏- 분적조 23세 경원군 李攀桂 이반계) · 아산 이씨(牙山李氏- 분적조 6세 증사공공 李周佐 이주좌) · 재령 이씨(載寧李氏- 분적조 7세 재령군 李禹偁 이우칭) · 진주 이씨(晋州李氏- 분적조 18세 대제학공 李永榟 이영재. 벽호공 李君榟 이군재)· 장수 이씨(長水李氏 - 분적조 林幹 임간 - 直幹직간) 등이 이에 속하며 그 외 많은 이씨가 경주이씨 시조의 후손이라고 하나 계대가 확인되지 않는다.

경주 이씨 중에서 익재공파, 국당공파, 상서공파 이들 3파가 가장 번창하고 주축이다.


○ 익재 이제현

이제현(李齊賢, 1287년~1367년)은 고려 후기의 시인·문신·성리학자·역사학자·화가이다. 초명은 지공(之公), 는 중사(仲思), 는 익재(益齋), 역옹(櫟翁), 실재(實齋)이고, 시호는 문충(文忠)이며, 본관 경주(慶州).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의 아들이다.

과거에 급제한 후 연경궁녹사, 예문춘추관, 사헌부규정을 거쳐 1319년 충선왕의 초빙으로 원나라로 건너가 만권당에서 연구하였으며, 충선왕이 모함을 받고 유배되자 그 부당함을 원나라에 간하여 1323년 석방되게 했다. 1320년 단성익찬공신(端誠翊贊功臣)에 책록되었고, 그 뒤 밀직사, 정당문학, 삼사사 등을 거쳐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에 봉작되었고, 1357년 문하시중에 올랐으나 기철 등 친원파 암살 사건을 중재하려다가 실패하였다. 이후 사직하고 은퇴,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 저술에 몰두하였다.

고려 초기의 유학자이자 성리학자이며, 공민왕의 후궁 혜비 이씨의 친정아버지였다. 고려 신진사대부 조선 사림파의 학문적 선조로서, 성리학을 들여와 발전시켰으며, 그의 문하생 목은 이색은 후일 정도전, 조준, 남은, 정몽주, 길재로 학파가 나뉘게 된다. 그림과 서예에도 능하여 그림과 서예작도 남겼고, 평론서인 역옹패설 등과 많은 산문, 시문 등을 남겼다. 백이정, 권부의 문인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A0%9C%ED%98%84


○ 이존오

이존오(李存吾, 1341년~1371년)는 고려 말기의 문신이다.

신돈이 공민왕의 총애를 입고 권력을 농단하자 공민왕에게 〈논신돈소〉라는 상소를 올려 탄핵을 하였다. 공민왕은 이존오의 상소를 반도 읽지 않고 이존오를 사사하려 하였으나 이색의 만류로 겨우 목숨을 부지하였고 그는 고향으로 낙향하여 울분 끝에 요절하였다.

작품

신돈의 권력 농단을 비판한 시조가 전한다.


구룸이 무심(無心)탄 말이 아마도 허랑(虛浪)하다

중천(中天)에 떠 이셔 임의(任意)로 단니면서

구타야 광명(光明)한 날빗츨 따라가며 덥나니


○ 백사 이항복

이항복(李恒福, 1556년 ~ 1618년 7월 4일(음력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정치가·시인·작가이다.

본관은 경주, 는 자상(子常), 는 백사(白沙)·필운(弼雲)·청화진인(靑華眞人)·동강(東岡)·소운(素雲),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우참찬(右參贊)을 지낸 이몽량(李夢亮)의 아들이며, 도원수 권율의 사위이다.

이덕형과의 우정 이야기(오성과 한음)로 잘 알려진 인물이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 선조를 수행하여 의주까지 몽양을 다녀왔으며, 호성공신 1등으로 오성부원군(鰲城府院君)에 봉해졌다. 참판,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1600년 영의정에 이르렀다. 광해군 인목대비 폐모 및 영창대군, 임해군 처단을 반대하다가 유배되어 유배지에서 중풍으로 병사하였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D%95%AD%EB%B3%B5


○ 이건영의 형제들

이건영(李健榮), 이석영(李石榮), 이철영(李哲榮), 이회영(李會榮), 이시영, 이소영(李韶榮), 이호영(李護榮). 


○ 독립운동가 이회영

간단 소개 영상 : https://youtu.be/nr2EjvfBS9Y

자유인 이회영 1회 : https://www.youtube.com/watch?v=2Y7F-D0xols
자유인 이회영 2회 : https://youtu.be/jKrXJXKTKFw
자유인 이회영 3회 : https://youtu.be/5VUzT4AEzuo
자유인 이회영 4회 : https://youtu.be/ce41edaH_FA(음소거)
자유인 이회영 5회 : https://youtu.be/hVgbqqM2Bng

SBS스페셜 '우당 이회영, 애국의 길을 묻다' : https://youtu.be/3GNsuq8jCjk


○ 대한민국 첫 부통령 이시영

http://newdle.noonnoppi.com/xmlView.aspx?xmldid=24285 


○ 독립운동가 우재 이시영(동명이인)


○ 독립운동가 이상설


○ 독립운동가 이상정


항일저항시인 이상화


○ 사학자 이상백


○ 동화작가 이원수


○ 참 군인 이종찬 


○ 정치인 이종찬(독립운동가 이회영의 손자)


○ 소설가 이무영


○ 기업가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


○ 삼성그룹 회장 이건희


○ CJ그룹 회장 이맹희


○ 삼성그룹 부회장 이재용


○ 대통령 이명박


○ 유한킴벌리 회장 이종대


○ 정치인 이종걸(독립운동가 이회영의 손자)


○ 방송인 이상용


○ 연예인 이상벽


○ 요리전문가 이혜정


○ 정치인 이재오


○ 정치인 이재명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들 집에서의 아내 생일 잔치  (0) 2016.05.30
큰아들 '경희튼튼한의원' 개원  (0) 2016.05.25
4월 하순  (0) 2016.04.24
2016년 봄 - 진해 여좌천  (0) 2016.03.27
2016년 봄 - 진해 목재체험장 인근  (0) 2016.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