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드라이브에 있는 [양식]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만들고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설문조사에서 [양식]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1) 구글 계정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설문조사 웹페이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2) 이메일에서 웹페이지의 주소를 보내어 설문에 응하게 할 수 있습니다. 사내(교내) 메신저나 홈페이지 공지 게시판에 안내문과 주소를 올려놓고 설문조사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3) 응답된 설문은 구글 드라이브의 [스프레드시트]에 저장되며, 현황을 바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설문 만들기
① [항목 추가]
설문지의 질문이나 중간에 섹션을 나누는 설명(섹션 머리글)을 추가하는 기능.
② ‘양식 - 제목없음’을 클릭한 후 제목을 입력합니다.
③ 이 설문에 대한 설명을 간략하게 입력해둡니다.
④ [질문 제목] 첫 번째 설문을 입력하세요.
⑤ [도움말 텍스트] 이 설문에 대한 도움말이 필요하면 입력해주세요.
⑥ [질문 유형] 다음 유형 중 하나를 선택하세요.
가) 텍스트 : 한즐 정도의 텍스트를 입력받아야 할 때(이름, 소속 등)
나) 단락 텍스트 : 문장 등으로 주관식 설문을 하여야할 때(의견 등을 물을 때)
다) 선택형 질문 : 여러 문항 중 하나를 고를 때(이것이 가장 널리 사용되지요)
라) 확인란 : 복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할 때
마) 목록에서 선택 : 선택형 질문과 비슷. 문항이 2개일 때 예/아니오 선택
바) 크기 : 선호 등을 스코어화할 때 사용(아주 좋다 5,4,3,2,1 아주 나쁘다)
사) 섹션 머리글 : 중간에 질문의 섹션을 나울 때 설명과 함께 씁니다.
- 각각의 질문이나 섹션 머리글의 경우, 마우스 왼쪽 버튼을 클릭한 상태에서 드래그앤드랍을 하면 질문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설문의 틀을 테마에서 고릅니다.
ⓑ구글플러스에서 이 양식을 공유합니다.
ⓒ [이메일로 양식 보내기] 설문지를 만든 후 설문자에게 이메일로 보내는 기능. 이메일에서 바로 설문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받을 사람의 이메일 주소를 콤마로 구분하여 입력해주면 여러 명에게 보낼 수 있습니다.
ⓓ [응답 보기] 설문의 결과를 그래프 등의 요약 형식이나 엑셀 형식 등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추가 작업] 임베디드와 확인 메시지 수정 메뉴가 나옵니다. [확인 메시지 수정]은 설문 작성이 완료된 뒤에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메시지입니다.
임베디드는 iframe 태그를 허용하고 있다면, 블로그나 홈페이지 등에 설문조사를 붙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임베디드]를 클릭한 후 표시되는 태그를 복사해서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붙여넣기를 하면 될 것입니다.
ⓕ [저장] 작성 중간에 이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
ⓗ 노랑색으로 표시된 편집 설문에 대하여 수정하거나(연필), 복제하거나(사각형 겹침), 지우기(휴지통)를 할 수 있습니다.
ⓘ 설문을 추가하려면 [샘플 질문 2]를 클릭하거나 상단의 [항목 추가]를 눌러도 됩니다.
ⓙ 이 주소를 복사해서 설문 응답자에게 알려주면 응답할 수 있게 됩니다.
설문조사 결과 확인하기
결과는 구글 드라이브 폴더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폴더에서 설문의 제목과 같은 이름의 스프레드시트 파일이 생성되어 있을 것입니다.
설문 응답자가 응답을 보내오면 이 시트에 업데이트되어 나타나게 됩니다.
이 시트를 보관하려면 파일 메뉴에서 [파일 저장하기]를 클릭한 후 원하는 형식으로 자신의 PC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요약 보기
해당 문서가 열린 상태에서 [양식] 메뉴를 클릭하면 하위 메뉴가 나타납니다. 이 메뉴 중 [요약보기]를 클릭하면 그래프 등으로 표시되는 요약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IT스마트폰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카사로 만든 사진 동영상 (0) | 2013.04.12 |
---|---|
교직원 연수 후기 (0) | 2013.01.28 |
구글 드라이브 사용법(1) - 설치하기 (0) | 2013.01.13 |
모든 교사들이 알아야할 50가지 교육용 기술 도구(번역) (0) | 2012.09.14 |
교실에서 페이스북을 활용하는 방법 100가지(번역중) (0) | 2012.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