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드라이브는 구글 닥스( Docs), 구글 오피스, 구글 문서도구 등의 이름을 거쳐서 2013년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클라우드 겸 온라인 오피스 프로그램 서비스입니다.
구글 계정을 가지고 있으면 누구나 5GB의 무료 클라우드 드라이브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온라인으로 접속해서 사용해도 되지만 PC 혹은 스마트기기(폰, 탭, 패드 등)와 연동시켜서 사용하면 더욱 빠르고 편리합니다.
워드 문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양식, 그림 그리기 등을 별도의 설치 프로그램 없이 온라인으로 작업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협업을 통한 공동 작업도 가능하므로 지금까지 사용자 단독 작업으로 작성하던 각종 파일 작업의 한계를 뛰어넘는 다양한 작업이 가능합니다.
PC에 설치하는 법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기기에는 앱스토어에서 구글 드라이브를 검색해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1.
구글 웹페이지(http://www.google.com)에 접속해서 상단의 드라이브 메뉴를 클릭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은 로그인 화면이 나옵니다.
(계정이 없으면 새로 만들면 되고,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는 안드로이드 계정으로 로그인하시면 됨)
2.
로그인 합니다.
3.
설명과 같이 사용자의 PC에 구글 드라이브 폴더가 만들어지고, 이 폴더는 구글 드라이브와 싱크(동기화)됩니다.
이렇게 동기화되면 PC와 스마트폰/패드 등에서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4.
폴더를 변경하려면 아래 쪽에 있는 [고급 설정] 버튼을 누릅니다.
5.
[폴더 찾아보기]창에서 적당한 폴더를 지정하거나 새폴더를 만들어줍니다.
6.
저의 경우는 아래에 표시한 것과 같이 드라이브와 폴더를 지정하였습니다.
아래 쪽에 있는 옵션은 사용자가 판단하여 설정하십시오.(본격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기본값 그대로 두시는 것이 편리합니다.)
7.
설치를 완료하고 '구글 드라이브'를 실행하면 다시 로그인을 요구하게 됩니다.
8.
로그인된 화면입니다.
사용자는 이제 아래와 같은 화면으로 구글 드라이브를 사용하게 됩니다.
9
새로운 파일을 만들려면 [만들기]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만들 수 있는 문서의 종류가 나타나게 됩니다.
다음 강의에서는 각각의 파일 만들기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IT스마트폰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카사로 만든 사진 동영상 (0) | 2013.04.12 |
---|---|
교직원 연수 후기 (0) | 2013.01.28 |
구글 드라이브 사용법 - 양식을 이용한 설문조사 (1) | 2013.01.13 |
모든 교사들이 알아야할 50가지 교육용 기술 도구(번역) (0) | 2012.09.14 |
교실에서 페이스북을 활용하는 방법 100가지(번역중) (0) | 2012.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