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lf

오늘의 스코어는 이제껏 살아온 내 인생의 거울이다

by 리치샘 2016. 11. 30.

"오늘의 스코어는 이제껏 살아온 내 인생의 거울이다."

올 시즌 이런 화두를 갖고 골프를 한다면 진정 예년과 다른 결과를 얻게 될 것이다.


■ 당신의 스코어가 나쁜 이유는 무엇일까?

왜 핸디캡을 크게 상회하는 스코어가 나오는 것일까?
그 이유는 간단하다.
당신은 골프를 열심히 치지 않은 것이다.
"무슨 소리야, 열심히 지지 않았다니? 난 항상 한타 한타를 위해 최선을 다했거든!"
물론 그렇게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당신이 한 것은 열심히 골프를 친 것이 아니라,
열심히 좋은 스코어가 나기를 바란 것 뿐이다.

예를 들어보자.
5미터 퍼팅을 할 때 당신은 퍼팅 라인을 앞뒤좌우에서 열심히 읽고
딱 한 지점을 정해 볼이 들어간다는 확신을 갖고 퍼팅을 했는가?
아닐 것이다.
당신은 대충 쳤을 것이다.
정확한 한 지점에 대한 확신은 없지만, 더 열심히 라인을 읽어봐야 들어간다는 보장도 없고,
또  '내 주제에 저걸 어떻게 넣어'하는 체념도 섞이며 대충 쳤을 것이다.

숏 어프로로치도 비슷하다.
핀까지는 20미터 거리.
그 정도면 붙여서 원첫으로 끝내야 하는데 당신의 어프로치는 대부분 핀에서 먼 곳으로 간다.
그것 역시 떨어뜨려야 할 정확한 지점을 설정하지 않고 대충 저기 쯤 하는 식으로 치는 데서 연유한다.
골프는 잘 치려고 하기보다는 열심히 쳐야 한다.
열심히 친다는 것은 집중해서 치라는 뜻이다.
그리고 그 집중이라는 것은 달리 표현하면 액션플랜을 가리킨다.

한 지점을 정해 그 지점으로 볼을 떨어뜨리거나 가게 하는 '설정'이 있어야 하고,
최대한 그 설정에 따른 행동(스윙)이 이루어지겠금 극도로 신경을 모으는 것이다.


■ 스코어가 나지 않는 또 다른 이유는 골프를 추상적으로 치기 때문이다.

추상적으로 친다는 것은 욕심에 가득찬 골프를 뜻한다.

드라이브 샷은 '어디로 보낸다'가 아니라 '될 수 있으면 장타'만을 그리며 친다.
또 아이언샷은 어떤 경우이든 '핀에 붙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친다.
'될 수 있으면 멀리'나 '붙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것은 대단히 추상적이며 욕심에 가득한 발상이다.
골프는 절대적으로 구체적으로 쳐야한다.

핸디캡 1번홀 같은 난이도 높은 홀에서는 '보기를 하겠다'는 구체적인 기획하에 플레이해야 하고, 
'모든 샷은 멀리'라는 추상적인 목표가 아닌 '바로 그 지점'이라는 구체성이 있어야 한다.

■ 여기에 골프를 이해하는 분석이 겯들여지면 금상첨화! 

예를 들어 당신이 생각하는 7번 아이언 거리가 150야드라면
그 거리는 필경 가장 잘 맞았을 때의 거리일 것이다.
그런데 기막히게 맞으며 제 거리가 나는 경우가 과연 몇 %나 될까?
아마도 그럴 확률은 20% 미만일 것이다.
그렇다면 내가 생각하는 그 거리 아이언을 잡고 바로 그 거리를 내기 위해 있는 힘을 다해 패대는 것이 과연 옳바른 판단일까?

7번 아이언으로 있는 힘껏 팰 것인가 아니면 6번 아이언으로 우아하게 칠 것인가?
당연히 우아한 스윙이 바람직하다.


■ 종합하면

좋은 스코어로, 내 핸디캡대로의 스코어를 내려면
열심히 쳐야 하고, 분석해서 쳐야 하고, 기획해서 쳐야 하고, 구체적으로 쳐야 한다.
그러한 덕목들은 당신이 이제껏 살아오는 데 필요한 덕목들과 같다.
평생 당신 마음에 배고 몸에 배어 오늘의 당신을 만든 덕목들일 것이다. 
결국 오늘의 스코어는 "당신 인생의 거울"과 다름 아니다.

오늘 골프에서 핸디캡만큼의 소크어를 내거나 더 잘 쳤다면
그것은 진정 열심히 살아온 당신 인생이 바로 오늘이라는 시점에서 겸허히 골프에 반영된 것이다.

그것은 정말로 멋진 일이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Bravo my life)!!


<퍼온 글 : 다음 카페 - 밀양 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