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출력 ; Output]의 등록정보
가. 프린터
[프린터 선택]
윈도우에 설치되어 있는 기본 프린터가 자동으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기본 윈도우 프린터를 선택하면 됩니다. 프린터 설정은 [등록 정보] 단추를 눌러 설정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설정 : Page Layout]
설정된 프린터의 속성에 따라 인쇄될 문서의 윤곽을 보여줍니다.
나. 이미지 파일
[파일 형식]
- 파일 포맷은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와 같은 단순 색상의 경우는 GIF를, 천연색의 풍부한 색감을 가진 대상은 JPG(JPEG)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에는 GIF와 JPG의 장점을 살린 PNG가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 마지막으로 사용한 유형 기억하기 : 아래의 파일 형식 중 가장 최근에 사용한 형식을 기억하도록 합니다.
- 항상 이 파일 형식을 사용하기 : 사용자가 아래의 목록 중에서 선택한 파일 형식을 사용하도록 합니다.
[파일 이름]
- 파일 이름 묻기 : 파일을 저장할 때 파일 이름을 항상 입력하도록 합니다.
- 고정 파일 이름 : 고정된 이름을 사용합니다. 두 번 이상 연거푸 저장하게 되면 이전의 파일을 덮어 쓰게 됩니다.
[자동 파일 이름(Automatic File Name)]
- 접두어 뒤에 일련번호(Number of digits in)에서 정해준 자리수를 이용하여 1씩 증가시키며 저장합니다. 접두어와 번호 자릿수는 [옵션] 단추를 눌러 설정할 수 있습니다.
[폴더(Output Folder)]
- 캡쳐한 내용을 저장하고자 하는 폴더를 지정합니다. 이렇게 지정된 폴더는 다음 캡쳐 때에도 유효하게 됩니다.
- 항상 이 폴더 사용하기 : 지정한 폴더만을 사용도록 합니다.
다. 이메일 보내기
캡쳐한 내용을 이메일로 바로 보낼 수 있는 설정입니다. 이메일 보내기는 아웃룩이나 아웃룩 익스프레스 등을 활용할 수 있는 POP3 계정 메일에만 가능하며, 한메일, 엠팔, MSN 등 웹메일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전자 우편 설정값 매번 새로 입력 ; Prompt each time for e-mail settings]
- 메일을 보낼 때마다 받는 사람 주소와 내용을 기록합니다.(권장)
[사전 설정된 전자 우편 기본값 사용 ; Don't prompt, Use preset e-mail default]
- 설정해준 값대로 메일을 보냅니다.
[받는 사람 이름 ; Recipient name], [특정 주소 ; Specific][주제(제목) ; Subject], [메시지 텍스트 ; Message Text] 등을 입력하면 됩니다.
라. 카탈로그 브라우저
카탈로그는 일종의 간단한 뷰어(Viewer)와 같은 성격을 지닌 것으로 스내그잇과 연동하여 캡쳐한 내용을 담긴 폴더를 열어 내용을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물론 이 카탈로그를 통해 간단한 파일 관련 작업도 할 수 있습니다. 윈도의 탐색기와 유사하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카탈로그 폴더 ; Catalog]
- 기본값대로 사용하거나 '찾아보기' 아이콘을 눌러 원하는 폴더를 지정해줍니다.
[파일 이름 ; How to name files added to calalog]
- 파일 이름 묻기(Ask for File Name) : 파일 이름을 매번 묻게 합니다.
- 자동 파일 이름(Automatic File Name) : 파일 이름을 [옵션]에서 설정해준대로 자동으로 붙여줍니다.
[카탈로그 브라우저 옵션 ; Calalog Browser options]
- 카탈로그에 캡쳐 추가하면 시작(Start browser when capture is added to catalog) ; 카탈로그로 출력이 이루어지면 스내그잇 카탈로그 프로그램을 시작합니다.
- 카탈로그에 캡쳐 추가하면 표시(Show browser when capture is added to catalog) ; 카탈로그로 출력이 이루어지만 스내그잇 카탈로그 프로그램을 시작함과 동시에 해당 내용을 보여줍니다.
마. FTP
캡쳐한 내용을 서버 컴퓨터로 바로 전송하기 위한 설정입니다.
[FTP 서버 ; FTP Server]
- FTP 서버의 주소를 입력합니다. 유명 서버의 경우는 'ftp.서버 주소' 형식입니다.(예 : 네이버 -> ftp.naver.com)
[포트 : Port]
- FTP 서버의 포트를 입력해줍니다. 보통은 21번을 사용합니다.
[원격 경로 ; Remote Path]
- 서버에서의 저장 경로를 적어줍니다.
[수동 FTP 사용]
- PASV 모드 사용(Use Passive FTP) : 방화벽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PASV 모드를 사용합니다.
[진행 표시 ; Show Progress]
- 파일 전송 상태를 보여줍니다.
[원격 파일 ; Remote File]
- [고정 파일 이름 ; Fixed File Name] : 정해놓은 파일명만 사용합니다.
- [자동 파일 이름] ; [순서 한계 ; Sequence]에서 설정해준 값까지 자동으로 번호를 붙여줍니다.
[파일 이름 또는 접두부 ; File Name or] ; 연속 파일 이름일 경우 접두어를 설정합니다.
[임시 파일 이름 사용 후 이름 재지정 ; Use temp/rename replacement method] : 동일한 파일 명이 있을 경우 파일 이름 대체하기에서 임시 혹은 이름 바꾸기를 합니다.
[서버 인증 ; Server Authentcation]
- 인증을 받아 접속할 수 있는 서버인 경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넣어줍니다.
- [사용자 이름 ; User] : FTP 서버의 사용자 아이디
- [암호 ; Password] : FTP 서버의 비밀번호
[프록시 서버 사용 ; Use proxy server]
- 프록시 서버 사용 유무를 설정합니다.
- [프록시 서버 및 포트 ; Proxy] : 프록시 서버를 사용할 경우 프록시 서버의 주소 및 사용 포트를 입력합니다.
바. 인스턴트 메시지
[담당자 선택 방법]
- 캡쳐 후 프롬프트 표시 : 메신저 대화상대를 직접 선택함.
- 사전 설정 목록 : 목록에서 선택
[파일 이름]
- 파일 이름 묻기, 자동 파일 이름 중 하나를 선택
[전송된 파일 저장 위치]
- 전송된 파일의 저장할 경로를 설정함.
사. 프로그램
[출력 대상 프로그램 선택]
- 출력할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의 목록을 만듦. 추가, 편집, 제거, 새로 고침 등의 기능 이용.
[파일 이름]
- 앞서의 예와 마찬가지로 파일 이름을 수동으로 입력할 것인지, 자동으로 붙이도록 할 것인지를 설정함.
'SnagIt, Camtasia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옵션] (0) | 2015.09.01 |
---|---|
9. [효과 ; Effect] (0) | 2015.09.01 |
7. [출력] 방향 정하기 (0) | 2015.09.01 |
6. [입력]의 [등록정보] (0) | 2015.09.01 |
5. [입력] 설정하기 (0) | 2015.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