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이미지 오버레이 작업
■ 이미지 오버레이란
기존의 구글 어쓰 사진 외에 해당 지역의 자연 재해 등 사진을 겹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2005년 8월말 미국 루지애나주 뉴 올리언스에 닥친 허리케인 카타리나의 피해 상황 장면을 구글 어쓰에 추가해서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 이미지 구하기
앞서 살펴본 커뮤니티를 통해 오버레이 이미지를 구할 수 있습니다.
직접 항공기를 타고 촬영한 사진이 있으면 더할 나위 없겠지만..... 아무에게나 가능한 일이 아니라서.....
다음 사진은 허리케인으로 인해 다리가 끊어진 상황이 나타나 있는 뉴올리언스의 한 지역입니다. 구글 커뮤니티를 통해 입수했습니다.
'다른 이름으로 대상 저장'을 하십시오.
■ 이미지 오버레이 시키기
북위 30도 09분 03초, 서경 89도 51분 29초 근처인데 이 사진을 구글 어쓰에 오버레이 시켜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그림과 같이 경위도를 입력하고, 위치를 찾아갑니다.
메뉴의 [Add > Image Overlay]를 실행합니다.
그림을 오버레이시킬 수 있는 아래와 같은 사각형 표식이 나타납니다.
파일을 불러들인 후 아래 그림에 표시한 것과 같은 모서리 혹은 조절점을 이용하여 배경 그림과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작업해주어야 합니다.
아울러 [New Image Overlay]창이 나타나게 되는데, 아래와 같이 장소와 관련된 이름을 넣어주고, [Image URL or Filename]에 자신의 컴퓨터에 있는 파일이면 [Browse..]를 눌러 찾아보기를 하고, 인터넷에 있을 경우 그림의 경로와 파일 이름까지를 정확하게 입력해줍니다.
(다른 사람과 공유를 하고자 한다면 인터넷 주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생각함)
[투명도(Transparency)]의 슬라이드 막대를 움직여 겹침의 투명도를 조절해주고 [OK]단추를 누르면 이미지 오버레이 작업이 완료되게 됩니다.
■ 자료 공유하기
이렇게 제작된 오버레이 이미지 및 정보는 다음 그림과 같이 [Places]의 해당 자료에서 마우스 오른쪽을 눌러 [Save As..]를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저장하면 해당 지역 정보만 따로 저장이 되는 것입니다. 오버레이 이미지 관련 정보의 파일 형식은 KMZ가 됩니다.
* KML은 Local 정보, KMZ는 Local보다 좁은 Zone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렇게 저장된 정보 파일을 구글 어쓰 커뮤니티나 이메일, 혹은 자신의 웹사이트를 통해 공유할 수 있게 됩니다.
■ 커뮤니티에서 이미지 오버레이 가져오기
구글 어쓰 커뮤니티 BBS를 통해 이미지 오버레이 작업이 완료된 정보 파일을 가져와서 볼 수도 있습니다.
다음 그림에서 보인 것처럼 커뮤니티 게시물 중 오버레이 관련 글을 찾아 'Open this Palcemark'를 클릭하여,
[저장] 혹은 [열기]를 하면 구글 어쓰가 실행되면서 해당 지역으로 이동하여 오버레이된 이미지를 보여주게 됩니다.
'강좌 모음 > 구글 앱(App)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어스] 14. 커뮤니티 이용하기 (0) | 2015.08.24 |
---|---|
[구글 어스] 13. 프로그램 옵션 (0) | 2015.08.24 |
[구글 어스] 12. 정보 팝업 창 (0) | 2015.08.24 |
[구글 어스] 11. 거리 측정 (0) | 2015.08.24 |
[구글 어스] 10. 주행경로 찾기와 모의주행 (0) | 2015.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