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좌 모음/구글 앱(App) 활용

[구글 어스] 3. 위치 이동과 찾기(네비게이션)

by 리치샘 2015. 8. 21.

[구글 어스]

3. 위치 이동과 찾기(네비게이션)


    지구(뷰어)의 어느 곳에서든 마우스를 놓고 마우스 왼쪽 혹은 오른쪽 단추를 누르면 움직이게 됩니다.

    •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드래그를 하면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지구의가 회전을 하게 됩니다.

      이때 마우스 커서의 모양이 에서 모양으로 바뀝니다.

       
    • 미국 내 혹은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곳을 찾아갈 때는 [Fly to]에 지명, 주소 등을 입력한 후 [Search] 단추를 눌러 검색한 후 그 결과를 이용하여 찾아갈 수도 있습니다.
       
    • 찾고자 하는 위치의 경위도를 정확히 알면 역시 [Fly to]에 입력한 후 [Search] 단추를 눌러 찾아갈 수도 있습니다.
       
    • 원하는 위치를 찾으면 인터넷 회선을 통해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므로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화면 아래에 나타나는 [Streaming]율이 100%에 도달하면 최대 해상도가 되며, 더 확대를 했을 때 흐릿하게 나타나면 그 지역의 사진 해상도 최대 한계치를 벗어났기 때문입니다.
       
    • 프로그램 아래쪽에 있는 북쪽 표시 아이콘을 누르면 남북으로 세워줍니다.

       
    • 단추 이용하기


       
    • [Fly to]를 이용한 검색하기
      다음 그림과 같이 [Fly to]탭을 선택한 상태에서 검색 항목에 원하는 검색어를 입력합니다(영문만 가능).
      Enter키를 누르거나 [Search] 단추를 누르면 찾아서 이동하게 됩니다.


      아래 그림은 결과 화면입니다.

       
    • 레이어 색에 따른 정밀도
      구글 어쓰는 위성 사진과 항공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된 지도이고, 나라에 따라 지역에 따라 정밀도가 다릅니다. 아주 정밀한 사진의 경우 사람 1명을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정밀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건물 1채도 명확하지 않을 만큼 해상도가 낮습니다.
      정밀도는 레이어 색으로 어느 정도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우리나라의 중북부 지방의 경우 동그라미 표시를 해둔 곳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색상이 약간 다름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지역은 확대를 해보면 상대적으로 보다 정밀한 사진이 나오게 됩니다.

       
    • 원래의 모습(지구본)으로 되돌리려면 
      [Places]에서 [Default] 혹은 [Sightseeing]를 더블클릭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