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북에 게시물을 올릴 때는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 방법으로 합니다.
각각의 경우를 살펴봅니다.
비교적 짧은 글을 쓸 때 이용합니다.
단상 즉, 문득 떠오르는 생각이나 현재의 심정 등을 쓰는 것이지요. 링크를 하거나 다른 사람의 글을 공유할 때도 간단한 멘트를 달 수 있습니다.
긴 글을 쓸 때는 [문서] 기능을 이용합니다.
온라인으로 긴 글을 쓰기가 쉽지 않으니, 긴 글은 워드나 메모장 같은 데서 써두었다가 복사해서 붙여넣기를 하면 될 것입니다.
함께 있는 친구를 추가해서 올릴 수도 있고, 현재 위치를 첨부할 수도 있답니다.
★ [공개범위 설정] : 이거 매우매우 중요한 사항인데요, 내가 올린 글을 볼 수 있는 사람의 범위를 정해주는 것입니다.
글쓰기 할 때마다 꼭 챙겨보세요. 한번 설정해놓은 다른 경우로 변경하기 전까지 그대로 유지가 되고요, 이미 올린 글이나 사진에 대하여 공개범위를 변경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정 단추를 눌러 할 수 있습니다.
[전체공개]를 하면 페이스북 회원/비회원할 것 없이 모든 지구인이 볼 수 있습니다. 기본값이 [전체공개]로 되어 있으니 꼭 유의해서 보세요.
[친구만]은 말 그대로 자신의 페북 친구들만 볼 수 있게 하는 겁니다.
[아는 사람을 제외한 친구] 이건 번역이 좀 잘못된 것 같은데 페북 친구를 제외한 사람들이 해당될 것 같네요.
[나만 보기] 혼자만 보는 것.
[사용자 지정] 보여줄 사람을 지정합니다.
그 아래쪽에 있는 항목은 친구 리스트에 따라 선택하는 겁니다. 친구 목록이 미리 만들어져 있어야 하겠죠?
사진이나 동영상을 올리는 곳입니다. 사진의 경우 컴퓨터에 저장된 파일을 불러오기를 해서 한꺼번에 여러 장을 올릴 수 있고요,
[웹캠 사용]은 PC카메라로 사진을 찍어 바로 올릴 수 있는 기능입니다.
같은 주제나 날짜의 사진 여러 장을 한꺼번에 올리고 싶으면 [사진첩 만들기]를 이용하면 관리하기가 편합니다. 페이스북의 사진첩은 사진첩 하나에 200장을 담을 수 있으며, 사진첩의 수에는 제한이 없습니다.
질문을 던지고 답변을 듣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보기를 제시하고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답니다.
'지금 현재 가장 고민되는 점은 무엇이예요?'와 같은 질문을 던지고,
[설문 옵션 추가하기]에서 '교우, 진로, 공부' 등등의 항목을 추가하기를 눌러 하나씩 등록해주면
보는 이가 체크할 수 있게 나타납니다.
항목별로 체크한 사람이 나타나지요.
'IT스마트폰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um 클라우드 사용법 - 1. 클라우드란? (0) | 2014.02.03 |
---|---|
리치샘 블로그 연결 QR코드 (0) | 2013.12.24 |
[페이스북] 외국인도 나의 이름을 부를 수 있도록 해주세요 (0) | 2013.12.18 |
디카 사용기(2) - 후지 파인픽스 F800EXR (0) | 2013.12.12 |
디카 사용기(1) - 후지 파인픽스 F800EXR (0) | 2013.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