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모음/소니베가스 강좌

06강. 트랙(Track) 이해하기

리치샘 2015. 7. 14. 15:09

비디오 트랙과 오디오 트랙에 위치하고 있는 아이콘들은 작기도 하지만 일견 복잡하게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실제 기본적인 편집에서는 필요한 경우에 선택해서 사용하면 되고, 
아울러 대략적인 기능만 알아두면 되겠다.

     

가. 비디오 트랙

    정지영상(사진, 그림)이나 동영상 트랙일 경우의 모양.

    ▷ 트랙 최대화/최소화 : 위의 단추는 최소화, 아래 단추는 최대화이며, 최대화 단추를 누르면 창 모드 단추로 바뀌게 된다. 창 모드 단추를 누르면 원래 모양으로 보이게 된다.

    ▷ 트랙 번호 : 트랙의 일련 번호가 자동으로 표시된다.

    ▷ 트랙 이름 : 트랙 속에 들어 있는 클립의 성질에 따라 이름을 붙여준다. 붙이지 않아도 상관없지만, 넣어두면 구분하기가 쉽다. 특히 음악의 경우, 제목을 넣어두면 편리.

    ▷ 보조 Motion Blur(Bypass Motion Blur) : 누르면 모션 블러 값을 조절할 수 있다.

    ▷ 트랙 모션(Track Motion) : 누르면 트랙에 모션을 줄 수 있는 다음 그림과 같은 창이 뜨게 된다. 이 창에서 2D 혹은 3D 형식으로 그림이나 동영상에 그림자와 가장자리 색상 넣기 및 회전, 변형 등 움직임을 줄 수 있다. 이 기능은 해당 트랙 전반에 걸쳐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이벤트 팬/크롭의 경우는 선택된 클립에만 효과가 적용됨)

    이 창의 아래쪽에는 베가스에서 표준형으로 채택하고 있는 키프레임 설정 항목이 있다. 여기서 움직임의 시작점과 끝점을 지정해주고 변형을 해주면 두 키프레임 사이에 자동으로 애니메이션이 이루어지게 된다.

     

    ▷ 트랙 FX : 이 단추를 누르면 아래 그림과 같은 플러그인 선택 창이 나타나게 된다. 플러그인은 거의 모든 효과가 해당되는데 여기서 가미하고자 하는 효과 플러그인을 선택해도 되지만, 효과 메뉴를 이용하는 것이 더 직관적이다.

    ▷ Automation 설정 : 비디오 트랙의 경우 투명도를, 오디오 트랙의 경우 볼륨을 [Automation write(Touch)]나 [Automation write(Latch)]가 선택된 상태에서 마우스 드래그를 통해 타임라인 상에서 바로 조절할 수 있다.

    ▷ Mute : 비디오 트랙의 경우 해당 트랙을 미리보기 창에서 보이게 하거나 보이지 않게 하고 오디오 트랙의 경우는 해당 트랙의 소리가 들리지 않게 한다.

    ▷ Solo : 이 단추가 눌러지면 미리보기에서 이 트랙만 보이거니 소리가 들리게 된다.

    ▷ 레벨 값 조절 : 전체 트랙에 걸쳐 균일하게 레벨 값을 조절한다. 비디오 트랙의 경우 투명도가 조절된다.

    ▷ 합성 모드 : 합성(Composition) 모드를 선택한다. 같은 성질의 두 개 이상의 트랙이 필요하다.

    ▷ 부/자 컴포지팅 만들기 : 합성에 있어 주/종의 관계를 설정한다.

     

     

나. 오디오 트랙

    비디오 트랙에 비해 몇 가지가 다르게 표시(아래 그림에서 진한 빨강으로 표시해놓은 것)된다.

    ▷ 녹음하기
    영상에 음성을 더빙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마이크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 버튼을 누르면 다음 그림과 같은 녹음 상태를 표시해주는 보조 창이 뜨게 된다. 이렇게 녹음된 소리는 해당 트랙에 들어가게 된다.

    ▷ Invert Track Phase
    이 단추를 누르면, 선택된 영역 혹은 전체 영역의 음향을 역으로 재생하게 된다.

    ▷ 트랙 FX
    음향에 대한 효과를 적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을 선택한다.

    ▷ 볼륨 조절
    해당 트랙에 대하여 출력 볼륨을 조절한다.

    ▷ 좌우 스피커 음량 조절
    좌우 음향의 균형을 조절한다.

     

다. 재생 속도 조절

    재생을 하면서 속도를 조절할 때 이용하며,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더블클릭하여 수치를 입력해서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원래 속도는 1이며, 0이면 정지, - 값을 가지면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② 드래그해서 임시로 속도를 조절해볼 수 있다. 마우스 단추를 놓으면 원래 속도로 환원된다.

    ③ 드래그하여 놓으면 계속해서 지정해준 속도로 재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