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산(Hubsan) 쿼드콥터 H501S 간단 사용설명서
협산(Hubsan) 쿼드콥터(드론)
Model : X4 FPV H501S
1. 리튬-폴리머 배터리 주의
1) 일 주일 이상 사용하지 않을 경우도 50% 충전해둘 것.(성능 저하 예방)
2) 화기 근처에 두지 말 것. 폭발할 위험성이 있음.
3) 어린아이나 동물 가까이 두지 말 것. 민감하므로 충격에 폭발할 가능성이 있음.
4) 훼손 배터리는 절대로 충전하지 말 것.
5) 자동차 등 움직이는 물체 상에서 충전하지 말 것.
6) 과충전하지 말 것.
7) 충전시 방치하지 말 것. 과충전 등의 위험이 있음.
8) 충전 연결 전선을 올바르게 연결할 것.
9) 뾰족한 금속 등 배터리에 충격을 줄 수 있는 물건과 함께 보관하지 말 것.
2. 비행 제어 관련 모듈
메인 콘트롤 모듈(CPU) + IMU 모듈(센서, 안전 비행, 고도 측정 등) + GPS & 나침반 모듈 + LED 지시등
3. LED 점등 표시 설명
전원 켜짐 : 4개의 흰색등이 지속적으로 반짝임.
나침반 계산 : 적색등이 4개 번갈아가며 반짝임.
비행 : 전방의 2개가 흰색으로 반짝이며, 후방 2개는 다음 상황에 따라 불빛이 달라짐.
1) 일반 : 노란색
2) GPS : 초록색
3) Home으로 : 파란색
4) 배터리 부족 : 빨간색
4. 쿼드콥터(드론) 배터리 사양
리튬 폴리머 배터리, 2700mAh, 7.4V, 당사(협산) 충전기로 충전할 것.
충전 소요 시간 : 2시간 30분
사용 가능 시간 : 약 20분
충전시 완전 충전 요함.
5. 프로펠러 조립
A타입은 A라고 표시된 기둥에 시계반대 방향으로, B타입은 B라고 표시된 기둥에 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장착하되 확실하게 장착이 되도록 할 것.
풀 때는 동봉된 U렌치를 이용할 것.
※ 프로펠러가 제대로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비행이 불가능하거나 매우 불안정하게 비행할 수 있음.
6. 조종기 LCD 패널 정보
7. 조종 모드 선택하기
<기본값은 Mode 2>
모드 선택 후 좌우 스틱을 두 번 이상 돌리고, 미세조절 버튼(아무거나)을 꾹 눌러줌.
설정이 완료되면 조종기에 초록색 불이 들어옴.
8. 셋업 메뉴 들어가기
오른쪽 스틱을 상하로 이동, 선택 후 오른쪽으로
9. 조종기와 드론 연결 재설정하기
공장 출하시 연결되어 있음.
재연결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한다.
1) 사진 촬영 버튼과 조종기의 전원 버튼을 동시에 누르고 켠다.
초기화 과정을 거쳐 LCD에 ‘System initialize’가 표시된다.
2) 사진 촬영 버튼에서 손을 뗀다. 그러면 LCD에 ‘Blind to Plane’이라고 뜬다.
3) 드론의 전원을 연결한다. 조정기 가까이에 놓으면 연결음이 삐하고 나게된다.
4) 연결이 제대로 안되면 위의 1)~3)과정을 반복한다.
10. 나침반 설정하기
첫 비행이나 비행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나침반을 설정해주어야 한다.
나침반 기능은 전자적으로 매우 민감하므로 특별한 주의를 요하며,
제대로 설정되지 않으면 오작동 혹은 비행불능의 원인이 된다.
1) 왼쪽 스틱을 아래로 당기고
2) GPS 스위티를 위로 민다.
3) LCD 창에 ‘Calib Compass 1’이 표시된다.
4) 드론을 시계 방향으로 돌린다.
5) LCD 창에 ‘Calib Compass 2’가 표시된다.
6) 드론 머리(카메라 부분)을 아래로 드리워 조종기 쪽으로 향하게 한 후 시계반대 반향으로 돌리되, ‘Calib Compass 2’가 사라질 때까지 계속한다.
<주의>
1) 자장이 강한 곳에서 설정하지 말 것.
2) 전자키(자동차키)나 휴대폰 같은 물건을 지니고 설정하지 말 것.
11. 수평 설정하기
1) 드론을 평평하고, 수평인 곳이 둔다.
2) 조종기 왼쪽 상단에 수평 수직값이 0이 나와야 정상임. 1이상 혹은 –1 이하의 값이 나올 경우 다음과 같이 조절한다.
3) 왼쪽의 쓰로틀 스틱을 아래로 당긴 후 GPS 스위치를 빠른 속도로 7~10번 켰다 껐다를 반복한다.
4) LED가 빨간색으로 바뀌어 점멸할 때까지 계속한다.
5) 이후 나침반 설정 모드로 진행하게 된다.
12. 비행 전 확인 사항
1) 조종기와 드론의 배터리가 가득 차 있는지 확인
2) 프로펠러가 제대로, 단단하게 조립되어 있는지 확인
3) 메모리 카드가 꽂혀 있는지 확인
4) 모든 모터가 제대로 돌아가는 지 확인
13. 모터 켜기 / 끄기
※ 그림과 같이 아래바깥 쪽으로 당겨서 켠다. 끄는 방법도 동일하다.
※ 비행 중에 모터를 끄는 일이 없도록 주의할 것.
※ 스틱은 가능한 한 살며시 당기고 밀 것.
※ 모터가 작동되고 나면 스틱을 놓을 것.
14. 조종하기
GPS와 RTH(Home)은 야외용이므로 실내에서는 해제해둔다.
15. 트림을 이용한 보정
16. 조종하기 실전
드론은 생각만큼 조종하기가 쉽지도 않고 그렇다고 어렵지도 않다.
조종기의 스틱과 버튼을 원하는 기능으로 잘 수행만 하면 된다는 점에서는 기능 숙달만 되면 쉽다.
하지만 특히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미풍이라도 부는 날에는 각별히 조심해서 조종해야 한다. 조종을 잘 한다고 해도 바람의 영향으로 드론 자체가 많이 흔들리므로 좋은 동영상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특히 이 모델은 드론의 본체 안에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본체의 흔들림이 고스란히 그대로 동영상이나 사진에 전달된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요령으로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좋다.
1) 드론을 수직으로 이륙해서 고도를 먼저 맞추고, 그 다음 방향을 맞추거나 이동을 하자.
2) 이륙한 후 고도를 맞춘 상태에서 드론이 회전을 하면 트립을 이용하여 미세조정을 한다. 즉 회전을 하지 않도록 조정하면 된다.
3) 방향을 맞추거나 이동을 할 때는 장거리 이동을 제외하고는 스틱을 살며시 조심스럽게 조절해야 한다. 살며시 조절하면 드론도 살며시 움직인다.
4) 방향을 잃거나 해서 조종력을 상실하면 바로 GPS 스위치를 켜고, RTH(Home) 스위치를 켜자. 당황해서 다른 스틱을 움직이면 추락으로 귀결되고 만다.
5) 바람이 있는 날에는 동영상보다는 사진을 촬영하자.
6) 배터리는 드론용과 조종기용 둘 다 완전히 충전된 여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좋다. 배터리 소모가 급격하게 일어나므로 미리 준비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17. 추가 기능 설정하기
셋업 메뉴로 들어가서 다음과 같은 설정을 할 수 있다.
1) 채널 반대로 설정하기
Main Menu > Set Reverse
스틱 당기기/밀기를 반대로 설정함.
2) 감도 설정
Main Menu > Set Sensitivity
Expert Mode / Normal Mode 중 선택
3) 수동 설정
곡예 비행을 하고 싶다면 GPS 스위치를 끄고,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동(Manual)’으로 설정한다.
Main Menu > Set Manual
ON(고도 기능 없음) 혹은 OFF(고도 기능 있음) 선택 후 Exit
Manual Mode의 기본값은 OFF
4) Headless 모드
Headless 모드란 조정기에서 조정할 때 드론의 머리 방향과 관계없이 움직이는 것을 의미.
1) 0.5초간 누르면 모드가 켜지고, 꺼짐
2) 헤드리스 모드로 들어가게 되면 삐삐 두 번 울리고 LCD에 ‘Headless On’표시됨.
3) 헤드리스 모드에서 빠져나오게 되면 삐 한 번 울리고, LCD에 ‘Headless Off’표시됨.
5) Follow Me 모드
Follow Me 모드란 내장된 GPS 시스템에 의거, 드론이 조종기를 따라 움직이는 것을 의미함. 즉 조종기를 들고 움직이면 드론이 따라오게 됨.
1) 0.5초간 누르면 모드가 켜지고, 꺼짐
2) 팔로우 미 모드로 들어가게 되면 삐삐 두 번 울리고 LCD에 ‘Follow On’표시됨.
3) 팔로우 미 모드에서 빠져나오게 되면 삐 한 번 울리고, LCD에 ‘Follow Off’표시됨.
이 모드는 드론과 조종기에 적어도 6개 이상의 GPS위성이 잡혀야 가능함.
6) RTH 모드
Return to Home 모드란 드론이 이륙한 지점으로 되돌아오는 기능.
드론 비행 중 GPS스위치가 켜져 있는 상태에서 RTH 스위치를 위로 올리면 작동.
7) Fail Safe 모드
Fail Safe 모드란 조종기와 드론과의 교신이 끊기더라도 이륙 지점으로 되돌아와 착륙하는 기능. 이 기종은 이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 이륙 지점으로 자동으로 인식하게 되어 있음.
이 모드가 작동하는 경우
조종기의 전원이 꺼진 경우
조종기의 신호가 미치는 영역 바깥으로 비행하는 경우
드론과 조종기 사이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강력한 전자 장애가 있어 조종기가 방해를 받는 경우
18. H501S 고장 진단과 처방
○ 조종기와 드론이 동기화되지 않을 때
조종기와 드론의 전원이 둘 다 켜져 있는가?
다음과 같은 절차로 동기화한다.
1) 조종기의 전원을 Off한다.
2) 카메라 버튼과 조종기의 전원을 LCD에 ‘Bing to plane’이라고 표시될 때까지 누른다.
3) 드론의 바닥을 조종기의 LCD에 아주 가까이 대고 드론의 전원을 켠다. 적어도 5초간 기다린다.
○ 프로펠러가 풀리지(돌지) 않을 때
1) 드론의 나침반 설정이 끝났는지를 확인
2) HOME(RTH) 스위치가 아래쪽으로 내려져 있는 지 확인
3) 모든 스틱이 중립 위치에 있는지 확인
○ GPS 신호를 찾지 못할 때
1) 건물 내부나 빌딩 사이에 있지 않은가?
2) 건물 외부에서 작동시키되 장애물, 큰 빌딩, 철 구조물 등은 피하고 탁트인 장소에서 작동할 것
○ 영상이 나오지 않거나 강한 방해를 받을 때
1) 주변에 방해 요소가 없는지 살펴볼 것
2) 드론의 주파수를 확인해보고 조종기가 방해 요소 하에 있지 않은 지 살펴볼 것.(그래도 해결되지 않으면 드론과 조종기를 다시 동기화할 것. 참조 p.5 조종기와 드론 연결 재설정하기)
○ 공중 정지(HOVER)가 안 된다.
1) 액정에 표시되는 기압 변수가 바른지 확인
2) 스틱이 중간 위치에 있는지 확인
○ SET-WAYPOINT로 비행을 할 수 없다.
1) GPS 스위치가 위쪽으로 올려져 있는 지 확인
2) GPS 위성이 6개 이상인지 확인
3) 스틱이 중간 위치에 있는 지 확인(쓰로틀 스틱 제외)
○ FOLLOW ME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
1) GPS 스위치가 위쪽으로 올려져 있는 지 확인
2) GPS 위성이 6개 이상인지 확인
3) 스틱이 중간 위치에 있는 지 확인(쓰로틀 스틱 제외)
4) 조종기와 드론 사이가 적어도 5미터 이상 떨어져 있는가?
○ 사진, 동영상이 촬영되지 않는다.
1) TF 카드가 제대로 삽입되어 있는지 확인
2) 호환성이 있는 TF 카드인가?(FAT32 포맷이어야 함)
○ HOME 모드가 작동하지 않는다.
이륙 전에 GPS 위성이 6개 이상인지 확인
○ GPS 위성 수가 줄어든다.
주변에 방해 요소가 없는지 확인(전기선, 변전소, 전신주 등)
○ 드론 혹은 영상이 흔들린다.
1) 프로펠러가 손상되지 않았는가? 손상된 프로펠러는 즉시 새 것으로 교환해야 한다.
2) 프로펠러가 단단하게 고정되었는가?
3) 모터 기둥이 손상되지 않았는가?
HWP 파일 다운로드(다운로드할 때 댓글 부탁합니다)
이 기기로 찍은 사진